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

🍞 2025 엠마오의 만찬

by 부동산박사과정 2025. 4. 21.
반응형
SMALL

폰토르모 vs 렘브란트, 빛과 상징의 예술적 만남


📖 엠마오의 만찬이란?

누가복음 24장 13–35절에 등장하는 이야기.
부활한 예수는 엠마오로 향하던 두 제자와 함께 길을 걷습니다.
하지만 제자들은 예수가 누구인지 알아보지 못하죠.
그리고… 함께 식사하던 중 예수가 빵을 떼어 나눌 때,
그제야 비로소 그는 부활한 예수임을 깨닫게 됩니다.

이 극적인 순간은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특히 폰토르모렘브란트의 작품은 시대를 초월한 해석으로 사랑받고 있어요.


🎨 폰토르모 《엠마오의 만찬》 (1525)

항목내용
작가 야코포 폰토르모 (Jacopo Pontormo)
제작년도 1525년
양식 매너리즘
소재 캔버스에 유채
소장처 우피치 미술관 (이탈리아 피렌체)

예수는 정면을 바라보며 빵을 나누는 중심 인물로,
주변에는 제자들뿐 아니라 수도사까지 등장합니다.
하단의 고양이, 개, 유리병 같은 일상적 요소들은
작품을 더욱 현실감 있게 만들어요.

또한, 화면 상단의 삼각형 안 **‘눈’**은
하늘로부터의 절대자, 삼위일체를 상징합니다.
🧭 상징성과 정적인 미학이 돋보이는 작품!


🖼️ 렘브란트 《엠마오의 만찬》 (1648)

항목내용
작가 렘브란트 반 레인 (Rembrandt van Rijn)
제작년도 1648년
양식 바로크
소재 마호가니 패널에 유채
소장처 루브르 박물관 (프랑스 파리)

렘브란트는 **빛과 어둠의 극적인 대비(키아로스쿠로)**를 통해
제자들이 예수를 알아보는 바로 그 순간을 극적으로 표현했어요.

예수는 빵을 들고 있으며, 그 얼굴엔 빛이 쏟아지고
제자들의 눈에는 놀라움과 경외심이 서려 있죠.
감정의 절정이 고요하게 펼쳐진 순간.


🧩 두 작품 비교

요소폰토르모렘브란트
양식 매너리즘 바로크
핵심 표현 상징과 정적 미 감정과 극적 연출
강조 대상 예수의 신성함 제자들의 인식과 감정
느낌 정갈하고 상징적 어둡고 깊은 몰입감

💬 마무리 한마디

“한 성경 이야기, 두 시대의 감성”
폰토르모는 상징과 구성미로,
렘브란트는 빛과 감정으로
부활의 감동을 전합니다.

당신은 어느 ‘엠마오의 만찬’에 더 마음이 가나요?

반응형
LIST